카테고리 없음

금 투자로 얼마나 벌까?

스가라 2025. 3. 24. 16:51

금 투자로 얼마나 벌 수 있는지는 투자 금액, 매매 타이밍, 보유 기간, 시장 변동성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.

1. 연평균 수익률 기준
과거 데이터를 보면 금은 장기적으로 연평균 7~10% 정도의 상승률을 보여왔습니다. 다만, 특정 시기에는 급등하거나 조정받을 수도 있습니다.

예를 들어:

2000년대 초반 온스당 $300 → 2011년 $1,900(약 6배 상승)
2011년 이후 조정 후 2018년 $1,200대까지 하락
2020년 코로나 이후 $2,000 돌파
2024년 현재 $2,100~$2,200 수준
2. 실제 투자 예시
10년 전(2014년) 1,300달러에 1kg(약 4,700만 원) 매수 → 현재 약 9,000만 원 (약 90% 상승)
2020년 초(1,500달러)에 투자 → 2024년 2,200달러 (약 46% 상승)
단기 트레이딩으로 변동성을 이용하면 더 큰 수익 가능
3. 변동성과 리스크
금 가격은 경기 불확실성, 달러 가치, 금리, 인플레이션 등에 영향을 받음
단기적으로는 조정이 있을 수 있음
배당금이 없기 때문에 장기 보유 시 기회비용 고려 필요
4. 기대 수익과 현실적인 접근
장기 투자 시 연 5~10% 수익 기대 가능
경기 위기 시 헤지(위험 회피) 자산으로 활용 가능
단기 트레이딩으로 높은 수익 가능하지만 리스크도 큼
투자 목적(장기 보유 vs. 단기 매매)에 따라 전략을 다르게 가져가야 합니다.
어떤 방식의 투자를 고려하고 계신가요?



금투자가 수익률이 낮은 이유

금 투자의 수익률이 낮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
1. 배당이나 이자가 없음
주식이나 채권과 달리 금은 배당금이나 이자 지급이 없음.
즉, 가격 상승 외에는 수익을 낼 방법이 없음.
예를 들어, 같은 기간 동안 주식은 배당을 받을 수 있지만, 금은 단순히 보유하는 것만으로는 추가 수익이 없음.

2. 장기적으로 제한적인 상승폭
금 가격은 장기적으로 상승하지만, 주식이나 부동산처럼 꾸준히 우상향하는 자산이 아님.

금은 경제 위기 때 급등하지만, 이후 조정을 받으며 박스권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음.
반면, S&P500 같은 대표적인 주식 지수는 연평균 10%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.
3. 실물자산 보관비용 발생
금을 실물로 보유하면 보관료, 보험료 등의 추가 비용 발생.
ETF(금 관련 펀드)를 사더라도 운용 수수료가 발생.
이로 인해 순수익이 더욱 낮아질 수 있음.
4. 달러와 금리의 영향
금 가격은 달러 가치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음.
금리가 오르면 채권 이자 수익이 증가하여 금 투자 매력이 감소.
즉, 고금리 시대에는 금 가격이 정체되거나 하락하는 경우가 많음.
5. 심리적 투자 성향
금은 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됨.
투자자들이 경제 불안이 클 때는 금을 사지만, 경제가 회복되면 다시 주식 등 위험자산으로 이동.
따라서 주식과 비교했을 때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내기 어려움.
6. 공급이 꾸준히 증가
금은 채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자산이므로 공급이 계속 증가.
새로운 금이 시장에 나올수록 희소성이 줄어 가격 상승 폭이 제한될 수 있음.
결론
금 투자는 변동성이 크지만, 장기적으로 보면 수익률이 낮은 편입니다.
✔ 단기적으로는 경제 위기 시 헤지(위험 회피) 용도로 유용
✔ 장기 투자로는 수익률이 낮아 분산 투자 정도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

금 투자를 고려하고 계신다면, 단기적인 트렌드와 목적에 맞춰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!